
1년 전
개천절, 우리 민족의 역사와 의미
개천절, 우리 민족의 역사와 의미
한국의 대표적인 국경일 중 하나인 개천절은 우리 역사와 문화에 깊은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개천절"은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로,
한자 그대로 "개천(開天)"은 "하늘을 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10월 3일, 기원전 2333년
개천절은 단군이 한반도에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을 건국한 것을 기리고,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의 이념을 되새기는 뜻깊은 날입니다.
과거에도 개천절은 민족국가 건국을 경축하는 국가적 경축일인 동시에,
문화민족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경축하며 하늘에 감사했던 우리 민족 고유의 전통적 명절이었습니다.
이러한 명절을 개천절이라 이름짓고 시작한 것은 대종교에서 비롯하는데요,
1909년 1월 15일 서울에서 나철을 중심으로 대종교가 중광되자, 개천절을 경축일로 제정하고 매년 행사를 거행하였습니다.
일제 강점기를 통해 개천절 행사는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특히 상해임시정부는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하여 경하식을 행했고, 충칭에서도 대종교와 합동으로 경축행사를 거행했다고 합니다.
광복 후 대한민국에서는 이를 계승하여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식 제정하였습니다.
개천절이 명절인데, 음력이 아닌 양력 10월 3일이 된 이유가 궁금하지 않으세요?
개천절은 원래 음력 10월 3일이므로 대한민국 수립 후까지도 음력으로 지켜왔는데,
1949년에 문교부가 위촉한 ‘개천절 음·양력 환용(換用)심의회’의 심의결과
① 음·양력 환산이 불가능하다는 이유와
② ‘10월 3일’이라는 기록이 소중하다는 의견에 따라,
1949년 10월 1일에 공포된「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의거,
음력 10월 3일을 양력 10월 3일로 바꾸어 거행하게 되었습니다.
개천절은 홍익인간의 개국 이념을 계승하고 유구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문화민족으로서의 자긍심을 고취하며 자손만대의 무궁한 번영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개천절을 경축하며, 모두에게 행복한 시간이 가득한 개천절을 기원합니다.
- #개천절
- #파주
- #파주시
- #파주시청
- #민족
- #역사와의미
- #국경일
- #한반도건국
- #건국기념
- #하늘을열다
- #5대국경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