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일에 투표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권리와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을 흔히 ‘유권자(有權者)’라고 부르죠. 유권자라는 단어를 풀이하면 ‘권리가 있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요. 5월 10일인 내일은 우리가 가진 투표의 권리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알아보고 선거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유권자의 날입니다.


선거와 투표, 유권자

유권자를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단어! 바로 ‘선거’와 ‘투표’입니다. 선거란 구성원들이 직접 어떤 나라 혹은 지역, 특정 조직·기관·단체 등을 대표하는 사람을 선출하는 일을 말합니다.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선거에서 많은 표를 득표한 사람은 대표자로 임명되죠. 이때 선거에서 구성원들은 자신의 의사를 ‘투표’를 통해 표현하는데요. 투표를 통해 선거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닌 사람을 유권자라고 합니다.


선거의 4원칙

대부분의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우리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해방 후인 1948년 5월 10일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최초로 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 원칙에 따른 민주적 선거가 실시됐는데요. 유권자의 날은 이날을 기념해 지난 2012년 법정기념일로 제정하였습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적용되고 있는 선거의 4원칙은 다음과 같은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① 보통선거 : 국민으로서 정해진 나이가 되면 조건에 따른 차별 없이 누구나 선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선거권을 주는 원칙.

② 평등 선거 : 빈부, 성별, 학력 등에 관계없이 누구나 똑같이 한 표씩을 행사하도록 하는 원칙.

③ 직접 선거 : 선거권을 가진 본인이 직접 투표에 참여해야 한다는 원칙.

④ 비밀 선거 : 자기가 원하는 대표를 자유롭게 뽑을 수 있도록 어느 후보자에게 투표했는지 비밀을 보장해 주는 원칙.


투표는 왜 해야 할까?

유권자의 한 표가 중요한 이유

선거철이 다가오면 각종 언론이나 SNS 매체를 통해 “투표에 참여하자"라는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한목소리로 투표 참여를 독려하는 이유는 바로 국민들의 삶과 미래를 변화시킬 대표자를 우리의 손으로 직접 뽑는 중요한 일이기 때문입니다.

귀찮아서, 정치에 관심이 없어서, 바쁘기 때문에 등등의 이유로 많은 국민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우리의 생각과는 다른 대표자가 뽑힐 확률이 높고, 나라의 정책 등을 결정할 때에도 국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국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좋은 정책을 만들어 실천하는 대표자라면 나라의 미래 또한 밝지 않을까요?^^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선거권은 유권자의 권리입니다.

헌법 24조에는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선거권을 가진다”고 참정권에 대해 기록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헌법 제1조 제2항에서는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말로 진정한 대한민국의 주인은 국민이라는 것을 명시하고 있는데요.

우리가 우리를 대표하는 사람을 선출할 수 있는 '권리'를 가졌다는 것은, 특정 인물이 아닌 모든 대한민국 사람이 나라의 주인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스스로 국가의 주인임을 깨닫고 주권의식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은 민주주의의 꽃인 선거에서 유권자로서 투표에 참여하여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는 일 아닐까요? 유권자의 날인 오늘, 진정한 대한민국의 주인은 누구인지 유권자인 우리 스스로 그 중요성과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title":"5월 10일 유권자의 날, 어떤 의미가 있을까?","source":"https://blog.naver.com/osan_si/223097533910","blogName":"오산시 블..","blogId":"osan_si","domainIdOrBlogId":"osan_si","logNo":223097533910,"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