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명 따라 부산여행!

오늘은 사상구 도로명에 숨어있는 명소 따라 떠나보겠습니다😀

맑은 샘물, 냉정샘이 있는 냉정로

냉정은 냉정우물, 냉정샘터 등으로 불리는 사상구의 명소 중 하나로 역사나 유래를 자세히 알려주는 문헌기록이 없어 대개 구전에 의해 전해지는데요~ 냉정은 가야에서 주례동으로 넘어오는 엄광산 산등성이의 고개 아래 자리잡고 있는 자연샘으로 옛날부터 이 샘물은 맑을 뿐 아니라 타는 갈증을 해갈시켜주는 청량수로 널리 알려졌습니다. 이 유명세 때문 에 샘물 뒤쪽에 위치한 가야와 주례 사이의 교통로에 해당하는 고개를 냉정고개로 부르게 되었고 앞쪽의 마을 또한 냉정동으로 불리우게 되었다고 합니다.

냉정샘은 도시철도 2호선 냉정역 5번 출구 인근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이 일대의 지명이 냉정이라고 불리게 된 이유를 이 샘에서 찾을 수 있는데요~ 냉정샘은 부산진구 가야동에서 사상구 주례동으로 넘어오는 엄광산을 오고가는 행인들의 갈증을 해소해주는 차가운 우물이었습니다. 냉정(冷井)이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청량함이 느껴지죠?


역사와 전통이 있는 강선로

강선로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강선대에 인접한 도로입니다. 신선이 내려와서 노닐었다 해서 강선대(仙臺)라 이름이 붙었는데, 이러한 전설이 있을 정도로 경관이 수려하다 해서 강선대라는 이름이 붙은 곳은 전국적으로는 여럿 존재합니다. 하지만 덕포동처럼 한 지역에 두 군데가 있는 경우는 매우 드문데요. 사상구 덕포동에는 417-9번지에 위치한 상강선대와 712-1번지에 위치한 하강선대가 있다. 매년 음력 12월 1일이면 신선이 하강하여 목욕을 하고 쉬어갔다는 전설이 있고, 마을의 풍년과 안녕을 빌기 위하여 1700년대부터 이 암대에 사당을 건조하고 해마다 주민전체가 모여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강선대라는 이름은 경관이 빼어나 매년 음력 12월 1일이면 신선이 내려와 목욕을 하고 쉬어 갔다고 하는 전설에서 유래됩니다. 강선대는 상하로 나뉘어 두군데 자리하는데요. 옛 사람들은 상강선대 쪽을 상리, 하강선대 쪽을 하리라고 불렀습니다. 강선대 위에 당산을 지어 상강선대 쪽을 할배당산, 하강선대 쪽을 할매당산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제당 관리는 진선회(津船會)가 맡고 있는데요. 진선회 회원들이 매년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면서 보존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사상구의 중심지, 광장로

광장로는 사상역에서부터 서쪽으로 향하는 폭 80~100m의 편도 10차선대로인데요. 부산서부버스터미널과 함께 사상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는 곳입니다. 광장로의 시작지점인 사상역은 현재 경부선에서 보자면 이용객이 그리 많지 않은 작은 규모의 간이역인데요~ 역사에서 서쪽을 바라보면 이 일대가 한눈에 보이는 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명품가로공원은 서부터미널과 광장로 사이에 있는 인도에 조성되어 있습니다. 형형색색의 꽃과 식물들로 쾌적하게 조성되어 있으며, 해마다 봄꽃전시회 등 각종 축제와 채용박람회 등 다양한 이벤트가 개최되어 행인들의 발길을 이끕니다.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롯데시네마, 쇼핑시설이 있는 애플아울렛의 부속건물 형태로 자리하는데요. 그 외 이마트, 홈플러스 등이 인근에 자리해 유동인구가 많습니다. 서면으로의 이동이 수월해 많은 여행객들이 이용하는 곳이기도 합니다.

김해와 부산을 잇는 주요통로부산김해경전철(사상역)은 부산서부버스터미널과 경부선, 사상역 사이에 자리합니다. 인근에 동해선 부전역에서 경전선 마산역을 잇는 복선철도 및 도시철도 사상~하단선이 건설 중인데요. 완공 시 교통의 요충지로서 자리매김할 할 전망입니다.



{"title":"[도로명 따라 부산여행] 사상구 냉정로부터 광장로까지","source":"https://blog.naver.com/cooolbusan/223222181225","blogName":"부산광역시..","blogId":"cooolbusan","domainIdOrBlogId":"cooolbusan","logNo":223222181225,"smartEditorVersion":4,"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line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