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당진 면천향교와 골정지에서 만나는 면천의 역사
당진 면천향교와 골정지에서 만나는 면천의 역사
이제 가을이 깊어가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요즘 당진여행을 합니다. 당진여행을 하게 되면 면천면을 방문해서 면천 역사기행을 하여도 참 좋습니다. 낙엽이 물든 세상이 아름답게 펼쳐지는 날 당진시 면천면에 자리 잡은 면천 향교와 골정지에 다녀왔습니다.
먼저 골정지를 끼고 돌아 나 있는 마을길을 따라 달려 면천향교에 도착하였습니다. 향교 마당에 자동차를 주차하고 주변을 돌아보았습니다. 서원이 사립이었다면 향교는 조선시대의 관립 교육기관이었습니다.
향교 마당 입구에 서 있는 홍살문을 볼 수 있습니다. 홍살문은 서원이나 향교에 설치하였고 능과 묘에도 설치했으며 충신, 열녀, 효자 등을 배출한 집안이나 마을에도 홍살문을 설치하도록 하였습니다.
홍살문 바로 옆에 하마비(下馬碑)가 있습니다. 누구든지 이곳 향교에 온 사람들 중 말을 타고 이곳을 지나는 사람은 말에서 내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당 한쪽에는 관리사가 있고 그 뒤에는 화장실이 있습니다.
충청남도기념물로 지정된 면천향교는 건립 시기가 정확하지 않으나 조선시대 태조 1년인 1392년에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고 전해집니다. 1716년(숙종 42)에 대성전 서쪽 벽 등을 수리한 기록이 있습니다.
1983년 대성전을 보수했고 1985년에는 명륜당을 보수했습니다. 그리고 1986년 동재와 서재의 보수가 이루어져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외삼문, 내삼문, 대성전, 동재, 서재, 명륜당 등이 있습니다.
명륜당과 내삼문 그리고 대성전이 일직선으로 배치되어 있어 앞쪽에 배움터가 있고 뒤쪽에 사당이 있는 형태입니다. 정문 격인 외삼문은 솟을대문 형식입니다. 외삼문에서 시작된 담이 향교 전체를 둘러싸고 있어 전형적인 한국의 담을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제사를 지내는 공간인 대성전은 정면이 3칸이고 측면이 2칸입니다. 대성전 안에는 중앙에 공자, 맹자, 증자, 자사, 안자(안영) 등 중국 5성(聖)의 위패를 모셔져 있고 그 양쪽에 송나라의 22현(賢)과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모셨습니다.
해마다 음력 2월과 8월에 각각 석전(釋奠) 제향을 올립니다.
면천향교에서 나오다 보면 연못을 만날 수 있는데 이곳이 바로 골정지입니다. 골정지 안에는 정자가 있습니다. 연암 박지원이 면천군수로 있을 때 세워졌다는 정자입니다. 일제강점기에 없어졌으나 2006년 당진시에서 복원하였습니다.
연못에 예전처럼 인공섬을 만들고 그 위에 약 33m² 크기의 초정(草亭)을 지은 후 돌다리를 놓았습니다. ‘건곤일초정(乾坤一草亭)’이란 ‘하늘과 땅 사이의 한 초정’이라는 의미인데 두보의 시구절에서 차용한 이름입니다.
안으로 들어가서 정자에 앉으면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이곳에는 봄에는 벚꽃이 아름답게 피어나고 여름에는 연꽃이 피어나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데 이곳에서 바라보는 풍경도 너무 아름답습니다.
이곳 골정지 주변에는 정자가 몇 군데 있어 휴식을 취하기에 참 좋습니다. 그리고 운동기구들도 설치되어있어 이곳을 산책하면서 운동을 할 수도 있어 좋습니다.
면천여행을 하신다면 면천읍성과 면천향교를 돌아보면서 면천의 역사와 유물을 만나보면서 면천을 좀 더 가깝게 만나는 여행을 하여도 좋습니다.
면천향교
주소 : 충남 당진시 면천면 동문2길 36-7
- #당진
- #당진시
- #면천향교
- #골정지
- #당진골정지
- #당진면천
- #당진면천향교
- #당진골정지연꽃
- #당진시여행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