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의성군블로그기자단 서진나입니다. :)

여러분들의 관심과 격려 덕분에 산불 피해 입은 의성군은 점차 회복해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의성군을 많이 찾아주시고 응원해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의성에코센터는 2006년 4월 폐교된 산운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해서 생태전시관으로 활용하고 있는데요. 2023년 3월에 일부 전시실을 지질공원 및 농업유산 전시실로 새단장해서 ‘의성에코센터’로 개관했습니다. 관람료는 무료라서 언제든지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데요! 야외에는 잔디광장이 있어서 아이들과 함께 휴식하고 뛰어놀기 좋습니다. 가을에는 은행나무도 아주 멋지답니다.

의성에코센터 관람 시간은 하절기 기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인데요. 잔디광장(운동장)의 경우 1일 50,000원이라는 저렴한 금액에 사용할 수 있어요.

의성에코센터 지질공원-농업유산 전시실에서는 상시 해설이 가능한데요. 의성군 통합해설사는 문화관광, 지질공원, 농업유산 해설사 양성교육을 모두 수료한 전문가라고 합니다.

먼저, 국가중요농업유산 의성수리농업 홍보전시체험관부터 둘러보았습니다.

의성에서는 수리시설의 효율적 이용관리를 위한 수리공동조직, 수리계(몽리계)를 운영해왔는데요. 못을 이용하는 농가를 ‘몽리자’라고 불렀다고 해요. 몽리자들의 대표인 ‘못도감’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체계가 바로 수리계라고 합니다. 못도감은 물 관리를 위한 최고 책임자로 수로 관리, 물 분배 시 다툼 조정 등 여러 가지 역할을 했다고 해요. 의성에서는 현재도 수리계를 운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의성은 소우지, 화산지형 특성상 건조하고 척박한 생육환경이었을 거라고 하는데요. 조문국 시대부터 현재까지 6,227개의 못과 논이 조성되며 수생태계가 잘 형성되었다고 합니다. 수리계(몽리계)의 주요 행사로는 6월 하지 전후 마늘을 수확하고 벼 모내기를 위한 ‘첫물 내리기’가 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2년부터 국가중요농업유산제도를 도입하였고,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은 물이 부족한 환경을 슬기롭게 극복한 농업유산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의성마늘을 활용한 다양한 음식도 전시되어 있는데요. 마늘장아찌, 마늘조림, 마늘바게트, 마늘보쌈 등등 음식 모형만 봐도 군침이 주르륵 흘러요.

의성의 대표 특산물은 한지형 의성마늘인데요. 한지형 마늘은 수확시기가 6월 중순 이후로 따뜻한 남쪽 지역 마늘보다 쪽수는 적은 편이지만, 단단하며 저장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에요. 연교차가 심한 기후와 토양 덕분에 의성마늘은 특유의 향과 강한 매운 맛을 자랑해서, 김치의 신맛을 억제하는 기능도 탁월하다고 해요.

의성의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을 둘러보고, 이제 의성의 생태와 공룡을 알아보겠습니다.

동물과 곤충, 어류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공룡에 대한 설명과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에 대한 설명도 전시되어 있어요.

공룡은 육식공룡과 초식공룡으로 나뉘는 거 아시죠? 공룡의 멸종에는 여러 가지 설이 있는데요. 그때를 살았던 공룡만이 진실을 알겠죠.

의성공룡발자국화석은 점곡면 사촌1리, 구암리, 춘산면 신흥리 등에서 발견되었습니다.

2023년 새단장한 전시시설에는 의성의 지질공원에 대한 내용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작약꽃이 피어나는 아름다운 5월, 의성에코센터에서 의성지질공원과 전통 수리농업 시스템을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는 건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

의성에코센터 위치


{"title":"경북 의성군 공룡과 전통농업을 만날 수 있는 '의성에코센터'","source":"https://blog.naver.com/uiseong-good/223870213310","blogName":"새로운 도..","domainIdOrBlogId":"uiseong-good","nicknameOrBlogId":"의성군","logNo":223870213310,"smartEditorVersion":4,"blog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meDisplay":true,"caf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