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년 전
오늘 첫눈이? 온다고요?
지금 여러분 있는 곳에
눈이 내린다면 댓글로 인증!
❄️
어제 수능이 끝났습니다.
마음졸이며 어제를 지내온 모든 분들 수고하셨습니다.
어제 하루종일 흐리고 비가오더니
오늘 눈소식이 있네요.
안그래도 시몬스 테라스 크리스마스 장식을 보니 겨울이 성큼 다가왔구나 했는데요.
이렇게 빨리 첫눈이라니요..
수능 직전까지 꽤 추웠죠?
이번 추위로 한라산과 강원도에 내린 첫눈 소식이 들리기도 했는데요.
올해 한라산 첫눈은 예년보다 18일이나 빨랐다고 합니다.
첫눈의 기준은?
첫눈 소식이 들리긴 하지만 모두 '공식적'인 첫눈은 아니라고 합니다.
공식적인 '첫눈'? 기준은 무엇일까요?
'
첫눈은 전국 23개 기상관측소에 근무하는 관리자가
눈(eyes)으로 눈(snow)을 직접 확인하는 방식으로 첫눈을 판단합니다.
기온과 습도, 바람 등은 자동관측기로 관측하지만,
유인 관측소에서는 꽃이 피고 서리나 첫눈이 내리는 것까지 관측하는데요.
자연현상은 시시각각 변해 기계는 이를 잘 사람처럼 잘 잡아낼 수 없다고 합니다.
서울에는 유인 관측소가 종로구 송월동에 있다는데
이천 첫눈을 결정하는 관측소는 어디 있을까요?
연도 |
첫눈 내린 날 |
마지막 눈 내린 날 |
2018 |
2018-11-24 |
2019-03-30 |
2019 |
2019-11-18 |
2020-03-04 |
2020 |
2020-11-29 |
2021-03-02 |
2021 |
2021-11-10 |
2022-03-19 |
2022 |
2022-12-03 |
2023-02-16 |
기상청 누리집을 통해 수원 기상관측소 기록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지난해는 12월 3일, 2021년엔 11월 10일에 첫눈이
마지막 눈은 2021년엔 3월 19일, 2022년엔 2월 16일에 내렸네요.
올해 첫눈은 오늘?
정말 날씨는 슈퍼컴퓨터도 모르는 자연현상인데요.
이럴 때 보는 것이 과거 기록입니다.
기상청에서는 첫눈이 오는 시기를 지난 30년간 기록된 기상청 자료를 통해 계산합니다.
서울을 기준으로 관측 역사상 가장 이른 첫눈은 1981년 10월 23일이며,
평균적으로 봤을 때 서울 평균 11월 21일, 중부지방 평균 11월 24일입니다.
그럼, 기상청에서 예상한 2023년 첫눈은 언제일까요?
11월 내에 대부분의 지역에서 첫눈을 볼 수 있다고 합니다.
보통 설악산에서 첫눈이 내린 후 한 달 이내에 서울에서도 첫눈이 내리는데,
올해 설악산 첫눈 관측은 10월 21일이었으니
서울 첫눈은 늦어도 11월 21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내리면 예상보다 5일정도 이른 첫눈입니다.
눈이 오기 전에 준비해요
첫눈은 로맨틱해 보이지만 막상 내리면 로맨틱하기만 하지 않은데요.
날씨까지 추워지면 얼음이 얼기도 하고,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크고 작은 사고가 발생합니다.
눈이 오기 전 지금부터 준비해요.
제설장비, 스노타이어, 긴급 전화번호 등
그리고 딱 한 번이라도 읽어주세요.
대설 국민행동요령
▶ 설해 대비용 안전 장구(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를 준비합시다.
▶ 어린이 및 노약자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30cm 이상 눈이 쌓이면 자동차, 대문, 지붕, 비닐하우스 위의 눈을 수시로 치웁시다.
▶ 내 집 앞, 내 점포 앞, 우리 동네 골목길은 스스로 치웁시다.
▶ 집 주변 빙판 길에는 모래 또는 염화칼슘 등을 뿌려서 미끄럼 사고를 예방합시다.
▶ 라디오·텔레비전·인터넷을 통해 기상청 정보를 알아봅시다.
▶ 자가용보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합시다.
도시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 자가용보다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합시다.
▶ 자가용 차량을 이용할 때 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 안전장구와 고립에 대비하여 담요와 양초를 휴대하고 안전하게 운행합시다.
▶ 염화칼슘, 모래 등을 준비해둡시다.
▶ 등산객이나 관광객은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시다.
▶ 오래되거나 약한 주택에서는 이웃, 친지 집으로 대피합시다.
▶ 노약자 및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제설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로 주변에 자동차를 세우지 맙시다.
▶ 라디오, TV 등을 청취하여 교통통제 및 교통상황에 대해 알아둡시다.
농촌지역에 살고 계신다면
▶ 자가용 차량 이용 시 체인, 모래주머니, 삽 등의 안전장구를 휴대하고 안전하게 운행합시다.
▶ 등산객이나 관광객은 신속히 안전한 장소로 이동합시다.
▶ 오래되거나 약한 주택에서는 이웃, 친지 집으로 대피합시다.
▶ 노약자 및 어린이는 집 밖으로 나가지 맙시다.
▶ 비닐하우스 등의 농작물 재배 시설은 받침대를 보강하거나 비닐을 찢어 재배 시설이 무너지는 것을 예방합시다.
▶ 작물을 재배하지 않는 빈 하우스의 비닐은 걷어냅시다.
▶ 눈 녹은 물이 하우스 안으로 스며들지 않도록 배수로를 정비합시다.
▶ 라디오, TV 등을 청취하여 기상상황을 주의 깊게 들읍시다.
▶ 외딴 집에 살고 있는 주민에게 비상연락을 합시다.
#이천시 #첫눈 #예상시기 #이천 #기상청 #대관령
#국민행동요령 #유네스코창의도시
- #이천시
- #첫눈
- #예상시기
- #이천
- #기상청
- #대관령
- #국민행동요령
- #유네스코창의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