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및 초등학교 저학년에 많이 나타나는 <수두>를 조심하세요"

💊 수두의 정의

수두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발진성 질환이며, 집단 취약시설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는 '수두'는 침방울(비말),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해 전파되는 감염병입니다.

💊 감염경로 : 수포액의 직접접촉, 비말 혹은 공기 전파,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공기 전파

- 전염력이 매우 높아 가족 중에 환자가 발생하면 감수성 있는 가족(백신 미접종자)에게 60~90% 전파

- 전파 시기는 발진 발생 1~2일 전부터 발진이 가피화될 때까지(발진 발생 후 4~5일)

- 잠복기 : 10~21일

💊 증상 : 무증상 감염은 드물며, 감수성 있는 사람에 감염되면 거의 대부분 발진 발생

1) 선청성 수두 : 임신 1기 산모가 수두에 감염될 시 태아는 선천성 수두 증후군에 걸릴 수 있음

(피부 반흔, 사지 위축, 작은 안구증, 시신경위축, 백내장, 실명, 정신지연, 태아사망 등 발생)

2) 출생 후 발생한 수두

1. 전구기 : 발진 발생 1~2일 전 권태감과 미열 발생

(전구기에 무증상일 수 있으며, 소아는 발진이 첫 번째 증후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음)

2. 발진기 : 주로 몸통, 두피, 얼굴에 발생하며 24시간 이내로 반점, 구진, 수포, 농포, 가피의 순으로 진행

3. 회복기 : 모든 병변에 가피가 형성되며 회복

💊 합병증 및 치료방법

- 발진부위의 2차 세균감염, 폐렴, 뇌염, 라이증후군 등

- 합병증이 없는 경우, 특별한 치료법을 필요로 하지 않으나 중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함

💊 관리 및 예방 접종

- 환자 격리 : 모든 피부 병변에 가피가 생길 때까지 전염력이 있으므로, 집단 발병 방지 위해 등교중지 권장

예방접종을 시행한 사람은 수두발병 시 가피가 생기지 않을 수 있으므로, 24시간 동안 새로운

피부병변이 생기지 않을 때까지 등교중지(격리) 권장

- 접촉자 관리 : 노출 후 72시간 이내 백신접종, 증상 발생 모니터링

-(어린이) 생후 12~15개월에 수두 백신 1회 접종

* 13세 이상 연령에서는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

-(성인) 4~8주 간격으로 2회 접종

{"title":"감염병 알림 서비스(2월)","source":"https://blog.naver.com/gwangjunamgu/223003780761","blogName":"광주광역시..","blogId":"gwangjunamgu","domainIdOrBlogId":"gwangjunamgu","logNo":223003780761,"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