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성 높은 백일해, 한달 새 4배 폭증

백일해 예방접종, 서두르세요!


발작성 기침을 특징으로 하는

백일해 환자가 올 가을부터 빠르게 확산 중입니다,

영아에겐 특히 치명적이고

감염력이 높기 때문에

어른 아이 할 것 없이 예방접종을 맞는 것이 중요합니다

백일해의 증상과 치료, 예방접종까지

자세히 알아봅시다!

01

백일해란?


백일해는 보르텔라 백일해균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백일동안 기침이 지속된다고 하여

백일해라는 이름이 생겼습니다

A형간염, 결핵, 수두, 장티푸스, 콜레라 등과 함께

법정감염병 2급에 속하며

확진판정시 항생제 치료 및 격리가 필요합니다

02

백일해의 증상


카타르기

경해기

회복기

콧물, 재채기, 미열, 경미한 기침 등

상기도 감염증상

기침이 점진적으로 심해지고, 참을 수 없는

발작성 기침, 기침 후 구토 및 무호흡이 나타날 수 있음

기침발작의 빈도나 정도가 감소하면서 회복되고, 수개월 경과 후 호흡기 감염으로 기침 발작 재발 가능

발작성 기침 전후 전염 가능성 높음

연령, 백신접종력, 수동면역 항체 보유 여부 등에 따라

임상양상이 다양하며

최근 확진환자들은 전형적인 백일해 임상증상이 뚜렷하지 않고

가벼운 기침으로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03

백일해 진단방법


발작성 기침(whooping cough)을 주의깊게 살펴주세요

✔호흡 곤란

✔가슴통증

✔기침 후 구역, 구토

적정검사시기는 기침 발생 후 2~3주 이내로,

증상이 생기는 경우 전문 병원을 방문해

정밀한 진찰을 받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04

백일해의 치료제


보통의 경우

잠복기 또는 발병 14일 이내에

아지스로마이신 투여가 필요하며

5일 정도 격리 치료를 합니다

(클라리스로마이신 대체 가능)

05

백일해 예방접종


백일해는 백신으로 예방이 가능합니다

▼소아 필수 접종시기▼

기초접종

1차

생후 2개월

2차

생후 4개월

3차

생후 6개월

추가접종

4차

생후 15~18개월

5차

만 4세~6세

6차

만 11세~12세

▼성인▼

DTaP 예방접종력이 없는 40세 이상은

DTaP 1회 접종 후 Td 2회 접종

DTaP 기본 접종력이 확인된 성인은

마지막 접종 후 10년 이상 경과하였으면 처음 1회

Tdap를 접종하고 이후 10년마다 Td 1회 접종


단, 아르투스 반응이 있다면

접종을 피해야하는데요!

디프테리아 또는 파상풍 성분이 포함된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 중 드물게 심한 국소혈관염인

아르투스 반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르투스 반응>

접종 2~8시간 후부터 어깨에서 팔꿈치 부위에 걸쳐

전반적으로 통증을 동반한 부종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전 여러 차례 파상품이나 디프테리아 톡소이드 접종력이 있는

성인에서 주로 발생

이를 경험한 분은 의사의 진료를 받고

다음 Td/Tdap 백신을

10년 이내 접종받지 않도록 권고드립니다

※ 본 콘텐츠는 동작 SNS 홍보단이 작성한 글로, 구 공식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itle":"[카드뉴스] 백일해 급증💥어떻게 예방해야 할까? (증상, 치료, 예방접종)","source":"https://blog.naver.com/dongjaksaran/223282541118","blogName":"동작구청 ..","blogId":"dongjaksaran","domainIdOrBlogId":"dongjaksaran","logNo":223282541118,"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