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년 전
습지탐방- 숨어 있는 습지 풍경맛집 고망물(큰물)
습지탐방-
숨어 있는 습지 풍경맛집 고망물(큰물)
찾았다!! 고망물
뱅듸물(뱅뒤물)로 나와 있기도 하지만,
선흘리 마을 사람들은
고망물 물통이라 부른다고 하니
고망물로 표기하려고 합니다.
(연세 높은 어르신들을 포함
일부 전문가들은
산간지역의 습지,
해안가마을의 용천수,
봉천수들을 말할 때
물통으로 표기하기도 한다)
70세 이상 선흘리 마을 사람들은
이곳 마을 공동목장인
웃마장(윗쪽의 목장)에서
소를 방목하고 물을 먹이던
기억들을 가지고 있다고 해요.
60~70년대만 해도
집집마다
소나 말 2~3마리는 다 키웠고,
넓은 들판에서
을 뜯어 먹고 물을 먹던 소와 말들은
선흘리 마을의 주 소득원으로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합니다.
조천읍 선흘리에 있는
이곳 웃바매기 오름 주변에는
많은 습지(물통)들이 있는데,
이 고망물은
주변 오름들과 곶자왈이 함께 어우러져
경관이 수려하기로 으뜸인 곳이기도 해요.
습지풍경이 그림처럼 펼쳐지는
고망물은
약 500여평 정도의 너른 빌레위에
습지를 이루고 있는데요,
처음부터 이렇게
큰 습지는 아니었다고 합니다.
처음에는 작은 물웅덩이였는데
마을 사람들이 우마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1980년대 중반에 포크레인을 사용하여
흙을 파내고 넓게 만들었고
지금의 면적이 되었다고.
지금도 소와 말들에게는
중요한 생명수가 되어 주고 있다고 해요.
이 고망물은
너른 빌레 위에
물이 고이는 형태(파호이호이 용암 암반)의
빌레습지인데
빌레습지는
용암이 흘러가다가 굳어지면서
지표면을 형성하게 되고
넓은 바위 모양의 빌레가 만들어지게 되고
비가 내리면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들지 않고
빌레 안에
물이 고이게 되는 형태의 습지를 말합니다.
습지는
단순히 물만 품고 있는 건
아니라고 하지요.
습지는
물 아래와 물 주변에 있는
모든 생명들-동식물-이
지속적인 삶을 이어 갈 수 있게
그들의 먹이 생활의 창고역할을 하고,
생활공간이 되어 주기도 하는
소중하고 값진 공간이기도 하지요.
제주도에는
300여개의 크고 작은
습지들이 있다고 합니다.
아끼고 보호해야 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임에도 불구하고
보호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어
사실상 습지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거나
개발로 인하여
소리 없이 사라지는 습지들이
계속 늘어가고 있는 현실이라고 합니다.
이 고망물은
찾아 가는 길이 쉽지 않다는 말을
들었던지라 늘 궁금증만 있던 곳이어서
어떻게 해서 가 볼 수 있을까 !!
갈 수는 있을까 !!
그 거대한 자연의 풍경들을
마음속으로만 그려보던 곳이었어요.
그곳이 이곳 고망물이라는 것도
나중에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사실은
웃바매기 오름 탐방이
목적이었어요.
내 키의 몇 배를 훌쩍 넘기는
삼나무 길을 좌우에 두고
100여 미터쯤 걸었을까
왼쪽 숲사이로 훤하게 펼쳐지는
무언가에 발걸음을 멈추었어요.
전혀 예상치 못한 곳에서
오래된 인연,
그리운 지인을 만난 것 같은
반가움 같은
그런 행운 같은 순간이었습니다.
고망물을 보게 될 거 라는
예상은 못했기에
반가움과 놀라움이 함께 였어요.
‘높은 하늘 아래
바람 따라 살랑살랑 물결이 진다.
물결에 수초들이 가늘게 한들한들.
목장에 방목 중인 말들도
유유히 그 풍경을 즐긴다.’
시인 흉내를 내 보기도 하고,
말들이 움직이는 방향으로
그들의 그림자를 따라가 보기도 하고,
고망물에는
어리연꽃, 마름, 택사,
둥근잎택사, 가래, 물달개비,
눈여뀌바늘,논둑외풀, 밭둑외풀 등의
습지식물들이 자라고 있어요.
특히 더위가 기승을 부리기 시작하는 6월이면
하얀 어리연꽃들이
이 넓은 물통 위에
가득하게 피어나는 모습이
장관을 이룬다고 하는데.
몇 해 전부터
이 고망물 습지는
사유지가 되어
일반인들은
자유롭게 출입은 할 수가 없다는데
실제로 습지로 들어가는 출입구에는
출임금지 안내와 연락처가 적혀져 있고
오름을 오르다가 살짝 볼 수 있는 정도이니
참고하고 탐방해야 합니다.
만나기가 쉬운 습지는 아니지만
자연의 선물을 함께
공유하고 싶은 마음에 소개를 합니다.
웃바매기 오름이
온통 초록으로 변하는 6월이 되면
동그란 잎을 가진
하얀 어리연꽃이 만발하는 그 즈음
고망물의 습지풍경은
그야말로 한 폭의 그림 같이
펼쳐진다 하니 6월에
다시 고망물 습지탐방 도전 해 봐야지.....
고망물 위치 :제주시 조천읍 선흘리 산 361
화장실 : 없음
주차장 : 오름 표지석 앞에
3~4대 정도 주차공간 있음
** 주의사항
큰길에서 들어가는 진입로가
차 한대 겨우 들어가는 좁은 길이어서
마주 오는 차를 만나면
운전이 미숙한 경우에는
대략 난감 상황이 될 수도 있어요.
큰길에 차를 세워 두고
걸어서 오름 입구까지 30여분 정도소요.
-제11기 제주시 SNS 시민기자단
유명숙 기자님이 쓴 글입니다.-
- #제주
- #제주시
- #제주시청
- #제주도
- #고망물
- #습지
- #빌레습지
- #제주습지
- #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