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은 오랜 역사와 전통문화가

살아 숨 쉬는 도시입니다.

유교 문화와 함께 양반 정신이 깃든 이곳은

다양한 문화유산과 민속이 전해지는 곳이죠!

오늘은 안동의 민속문화를 집대성한

안동시립민속박물관에 대한 소개와 함께

운영정보 그리고 주요 볼거리에 대해서

알려드리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

안동으로의 역사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꼭 한 번 들러보시길 추천드리며

글을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안동시립민속박물관

주소

경북 안동시 민속촌길 13

운영시간

09:00 ~ 18:00

(동절기 17:00 마감)

휴관일

1월 1일, 설날, 추석, 공휴일 다음날

입장료

무료

전화문의

054-821-0649

안동시립민속박물관은 1978년,

국무총리 최규하가 안동댐을 순회하던 중

민속 경관지에 박물관 건립을 제안하면서

시작된 사업으로 오랜 준비를 거쳐

1992년 6월 26일에 개관하게 되었습니다.

안동시립민속박물관은 안동문화권의 민속문화를

조사, 연구, 보존, 전시함으로써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은 물론

다양한 프로그램과 교육을 통하여

안동의 민속문화를 알리고 있습니다.

1층 전시실: 안동의 삶과 풍습이 담긴 이야기

1층 전시실에서는 안동의 선사문화,

고분 유적, 불교문화, 동제당 신앙,

그리고 전통 생활문화를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기자공간은 아들을 낳기 위한

부인들의 소망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전시로,

기도하는 여인의 모습과 기암석이 함께

연출되어 있습니다.

이 밖에도 생업 공간에서는

옛 안동의 농업과 수공업을 엿볼 수 있으며

향토음식 전시에서는 건진국수, 태평초,

식혜, 파산적, 헛제삿밥 등 안동 고유의 맛과

식문화를 실감 나게 보여줍니다.

특히 '헛제삿밥'제사를 지내지 않고

먹는 제사 음식이란 뜻으로,

고기산적·탕국·나물 반찬·식혜 등 제사상을

그대로 차려낸 전통 한상차림을 말합니다.

검소하지만 정갈한 안동의 유교문화가

반영된 음식으로 지금은 관광객들이 찾는

별미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제1전시실에서는 아기의 출생과 성장,

서민들의 생활문화를 중심으로 한

전시를 주로 볼 수 있습니다

2층 전시실에서는 까치구멍집, 상방,

사랑방, 사당, 제례 등 안동의 전통 가옥 구조와

의례문화를 전시하고 있으며, 회갑잔치와 상례,

장례의 과정까지도 모형으로 재현되어 있어

당시 생활상을 깊이 있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기자, 삼신상, 산모의 해산,

아기의 성장 과정과 함께 아명, 금줄, 객귀물리기 등

주술적 생활문화도 전시되어 있어

관람객들에게 많은 흥미를 줍니다.

안동시립민속박물관에서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됩니다.

5월에 운영되는 프로그램을 살펴본다면

<2025 전통문화 체험교실 운영>이 있습니다.

2025년 3월 25일부터 5월 20일까지,

안동시립박물관 별관 배움터에서는

전통문화 체험교실이 운영됩니다.

공예체험(라탄, 자개), 떡 만들기, 야생화 그리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으며,

모두 무료 운영되며 재료비만

수강생이 부담하면 됩니다.

경북 안동의 뿌리 깊은 역사와 전통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

안동시립민속박물관에서 안동에 대한 역사는

물론이고 민속, 전통 문화를 한 번에 알아보시기

바라면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본 내용은 송현경 안동시

SNS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안동시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title":"안동 역사여행: 안동시립민속박물관 운영정보 및 전시 소개","source":"https://blog.naver.com/andongcity00/223874993501","blogName":"안동시 공..","domainIdOrBlogId":"andongcity00","nicknameOrBlogId":"마카다안동","logNo":223874993501,"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