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원특별자치도입니다!

오늘은 10월 3일,

우리나라의 5대 공휴일 중

하나인 개천절입니다.

여러분은 개천절의

의미와 유래를 알고 계시나요?

혹시 아직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강원특별자치도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개천절 의미"

개천절의 사전적 의미는

開 열 개 天 하늘 천 節 마디 절

'하늘이 열린 날'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늘에서 내려온 천신 '환웅'과

곰이 인간이 된 '웅녀'와

혼인하여 낳은 아들인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한 이야기인데요.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국경일입니다.

하늘에 사는 아들 '환웅'이

세상을 다스리고 싶어 하는

환인의 허락을 받아

비, 바람, 구름을 다스리는 신

(삼위태백 : 풍백, 우사, 운사)과

3000명의 무리를 이끌고

인간을 이롭게 한다는

홍익인간의 정신으로

인간들을 다스렸는데요.

어느 날 곰과 호랑이가

'환웅'을 찾아와

사람이 되고 싶다고 했고,

곰은 사람이 되기 위해

마늘과 쑥을 먹으며 버텼고,

호랑이는 참지 못해 도망쳤습니다.

곰은 여자가 되어 단군을 낳았고

이는 '단군왕검'으로

조선이라고 한 한민족

최초의 국가를 세웠습니다.

"개천절 유래"

농경사회였던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10월'을 가장 귀한 달인

'상달'이라고 부르며

한 해의 농사를 추수하고

햇곡식으로 제상을 차려

감사하고 경건한 마음으로

제천행사를 지내왔는데요.

그만큼 귀한 달인 '10월'과 함께

'3' 역시 길한 숫자라 여겼습니다.

따라서 개천절은 한민족의 탄생과

농사의 시작을 기념하는

중요한 국경일이자

전통적 명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천절은 국가기념일로,

국기를 게양하는 날인데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다는 것이

올바른 게양 방법입니다.

심한 비와 바람 등의

날씨로 국기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도록 합니다.

일제통치하에 우리 민족이

단합할 수 있게 하고

자주성과 민족성을

끝까지 지켜준 날, 개천절!

그 의미와 유래를 바로 알고

태극기를 게양하여

의미를 기려보는 건 어떨까요~?

오늘만큼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

개천절에 대해 기념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단순히 공휴일이 아닌,

그 의미를 다시 한번 돌아보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title":"강원특별자치도와 함께 알아보는 개천절 의미와 유래","source":"https://blog.naver.com/gwdoraeyo/223223138005","blogName":"강원특별자..","blogId":"gwdoraeyo","domainIdOrBlogId":"gwdoraeyo","logNo":223223138005,"smartEditorVersion":4,"blog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