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시간 전
[서천 장항역] 장항1931, 예술과 도시의 경계를 잇다
움직이는 경계
충남 서천군 장항읍 창선2리 632-26
지난 6월 24일 금요일, 서천군 장항도시탐험역(구 장항역)을 찾았습니다. 바로 이곳에서 열리고 있는 '장항1931, 움직이는 경계' 전시를 보기 위해서였죠. 장항은 과거 철도와 항구를 중심으로 번성했던 도시로, 시간이 지나며 쇠퇴의 그림자도 함께 안게 되었지만, 최근에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예술과 문화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습니다. 전시 장소인 장항도시탐험역 역시 예전 장항역의 역사적 의미를 간직한 채, 시민과 예술을 잇는 플랫폼으로 거듭나고 있었어요.
'장항 1931, 움직이는 경계' 전시는 장항1931 일대 여러 공간에서 진행 중이지만, 저는 시간 관계상 장항도시탐험역, 철도카페, 플랫폼 세 곳만 관람했습니다.
각각의 공간은 과거와 현재가 맞물리는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냈고, 그 안에서 작가들은 도시와 인간, 자연과 문명 사이의 경계를 해체하거나 재구성하는 다양한 시도들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작품 중 가장 기억에 남았던 건 단연 이세현 작가의 ‘붉은 산수’ 시리즈였습니다. 익숙한 풍경이 온통 붉게 물든 그 화면은 단순한 미감 이상의 울림을 주었어요. 전쟁, 개발, 산업화의 흔적이 물감처럼 번져 있고, 그 안에서 도시와 자연의 긴장감이 묘하게 얽혀 있는 느낌이랄까요. 마치 장항이라는 도시가 지닌 지난 시간을 압축해 보여주는 듯해 오랫동안 눈을 뗄 수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전시가 무료라는 점도 큰 장점이었어요. 누구나 부담 없이 예술을 접할 수 있는 기회라는 게 참 고맙게 느껴졌습니다.
다만, 제가 방문했을 땐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이 거의 없어서 아쉬웠어요. 이 정도의 전시가 조용히 묻혀 있는 건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좀 더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된다면 장항이 가진 문화적 잠재력도 자연스레 드러나지 않을까 싶어요.
전시 외에도 장항1931 일대에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만들어진 바닥분수, 어린이 놀이터, 미디어센터 등이 함께 조성되어 있어, 가족 단위 나들이 장소로도 매우 적합합니다. 예술 작품을 감상한 뒤에는 주변을 산책하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기에도 좋아요.
예술은 늘 질문을 던집니다. 우리는 어떤 경계 안에 살고 있는지, 그 경계를 스스로 만들고 있는 건 아닌지. 《움직이는 경계》는 단순한 전시를 넘어, 도시와 개인, 과거와 현재 사이의 틈을 예술로 탐색하게 합니다. 주말을 맞아 장항을 찾는다면, 그 틈에서 마주치는 작은 울림을 꼭 경험해보시길 추천합니다. 이상 충남도민리포터 '용딱지'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장항 1931, 움직이는 경계
○ 전시장소: 장항도시탐험역, 철도카페, 플랫폼, 철길, 기차, 삼선건널목초소, 장군초소
○ 전시기간: 2025.05.13.~2025.05.12.31.
○ 관람시간: 매주 화-일 (월요일 휴관) 10:30~18:00 ( 오후 5:30 입장마감)
○ 입장료: 무료
○ 주최: 서천군
○ 문의: 041-957-0755
* 취재일: 2025.06.24.(금)
※ 이 글은 충청남도 도민리포터 용딱지님의 글을 재가공한 포스팅 입니다. 충청남도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충청남도 #충남 #충남도청 #충남여행지 #국내여행 #충남여행 #충남가볼만한곳 #충남방문의해 #충남관광 #충청도여행 #충청도가볼만한곳
- #충청남도
- #충남
- #충남도청
- #충남여행지
- #국내여행
- #충남여행
- #충남가볼만한곳
- #충남방문의해
- #충남관광
- #충청도여행
- #충청도가볼만한곳
- #서천
- #장항역
- #서천관광
- #서천산책
- #서천여행
- #서천데이트
- #서천아이랑
- #서천가볼만곳
- #서천전시
- #충남전시
- #충남데이트
- #충남아이랑
- #충남가볼만곳
- #충남산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