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효를 조명하는 연희는 과천무동답교놀이가 유일합니다” 경기도 무형유산 과천무동답교놀이 정기공연
“우리 정조대왕님께서 높고 큰 남태령 넘어 이곳 과천 땅에 도달하셨는데 우리 과천 시민이 어찌 가만히 있겠는가.
지금부터 경기도무형유산 과천의 자랑 과천무동답교놀이를 시작할 것이네.
왕이시여, 우리 과천을 지나 화성 가는 능행길에 무사 안녕을 기원하니 과천에 머무는 동안 천지가 깨어난다.
만물이 춤을 춘다. 왕이시여! 왕이시여! 이 기운을 들으소서”
이 말이 끝나자마자 꽹과리와 태평소 소리가 울려퍼지면서 과천무동답교놀이가 시작됐습니다.
경기 과천시는 지난 23일, 과천시민회관 야외무대에서 경기도 무형유산 과천무동답교놀이 정기공연을 열었습니다.
과천무동답교놀이보존회가 주관한 이 행사는 신계용 과천시장 등 여러 인사들과 시민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습니다.
경기도 무형유산 제44호인 과천무동답교놀이는 경기도 과천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전통 민속놀이입니다.
과천을 대표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최소 약 300년 넘는 역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때 중단되었던 과천무동답교놀이는 1981년 과천면 노인회장 이윤영 어르신과 민속학자 심우성 선생님의 노력으로 복원되었습니다.
이듬해인 1982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경기도 대표로 참가하면서 대중에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과천시는 과천무동답교놀이보존회를 중심으로 매년 정기 공연을 비롯하여
다양한 행사 및 축제를 통해 과천무동답교놀이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과천무동답교놀이의 유래는 크게 두 가지로, 가장 널리 알려진 설이 조선 정조대왕의 효심 기원설입니다.
정조대왕이 화성에 위치한 현륭원(현재는 융건릉)에 행차할 때 과천을 지나면서 유래했다는 것으로
당시 과천 백성들이 정조의 효행을 찬양하고 능행길을 환송하기 위해 나이 어린 소년들을 뽑아 여장을 시키고
남자의 어깨 위에 태워 춤과 재주를 부리는 ‘무동(舞童)놀이’를 펼쳤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때 백성들이 힘을 모아 임금의 행차를 도왔다는 ‘답교(踏橋)’ 행위가 결합되었다는 설이지요.
또 하나의 설은 정월 대보름 세시 풍속설로,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며 다리를 밟는 다리밟기가 답교놀이로 이어졌고
마을 전체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대동놀이 성격으로 발전했다는 설입니다.
과천무동답교놀이는 풍물, 춤, 소리, 독특한 퍼포먼스가 어우러진 종합 연희입니다. 놀이는 8가지 구성으로 진행됩니다.
1. 인사굿 : 놀이의 시작을 알리고
참여자와 관객에게 인사를 건네는 단계다.
2. 당고사 : 마을의 수호신이나 당나무에 고사를 지내며
놀이의 무사 안녕과 풍요를 기원한다.
3. 지신밟기 : 마을의 잡귀를 쫓고 복을 기원하는 놀이로
풍물패가 집집마다 돌며 진행된다.
4. 우물고사 : 마을의 우물에 고사를 지내며
물의 소중함과 공동체의 안녕을 기원한다.
5. 마당놀이 : 마당에서 펼치는 중심 연희로
무동의 재주와 풍물놀이, 군무가 어우러진다.
6. 다리고사 : 정월대보름의 전통인 ‘답교놀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리 위에서 제사를 지내며
액운을 밟아 없애고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한다.
7. 선소리 답교 : 선창자가 먼저 소리를 부르고
무리가 따라 부르며 노래하는 전통 방식으로
참여자들이 하나 되어 흥을 나누는 공동체적 놀이다.
8. 무동답교 : 과천무동답교놀이의 하이라이트로,
어린 아이들이 어른 어깨 위에서 춤과 재주를 부린다.
놀이가 모두 끝나면 뒤풀이를 통해 유종의 미를 거둡니다.
뒤풀이 : 놀이가 끝난 후 모든 참가자와 관객이 함께 어울려 춤추고 노래하며 마무리 짓는다.
이처럼 과천무동답교놀이는 정조대왕의 효심과 대왕의 행차를 도왔다는 과천 백성들의 이야기가 놀이로 이어졌다는 점과
놀이패와 관객 모두가 어우러져 함께 즐기면서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서로의 유대감을 높이는 점 등
다른 전통놀이들과 차별화된 특징들을 엿볼 수 있습니다.
오후 6시가 되자, 과천무동답교놀이 정기 공연의 막이 올랐습니다.
출연진들이 모두 인사하면서 시작한 놀이는 이야기꾼들이 갑자기 관객 속 한 시민을 곤룡포를 입히며 관객의 시선을 사로잡았습니다.
그 시민을 정조대왕으로 설정한 후 이야기꾼들이 놀이의 배경을 설명하면서 과천무동답교놀이가 전개됐습니다.
꽹과리를 든 상쇠의 지휘에 따라 과천무동답교놀이가 순서에 따라 이어졌습니다. 이 역할은 상쇠* 보유자인 오은명 명인이 맡았습니다.
과천무동답교놀이보존회 회장인 그는 한뫼국악예술단 단장 등 우리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인물로
오랜 기간 과천무동답교놀이 전승에 힘쓰고 있습니다.
*상쇠 : 두레패나 농악대 따위에서 꽹과리를 치면서 전체를 지휘하는 사람
놀이가 진행되면서 과천 시민이라면 익숙한 지명들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
남태령, 가자우물(찬우물)이 그러했는데 특히 가자우물에 대해 잘 모르는 시민들이 더러 있었습니다.
‘과천시 갈현동 8-1번지에 위치한 찬우물은 제22대 정조대왕이 생부인 사도세자의 원묘인 수원 현륭원에 능행(陵幸)할 때마다 과천을 통과했는데,
어느날 이곳에 이르자 심한 갈증을 느끼게 되었다고 한다.
한 신하가 근처 우물물을 떠다 바치니 이 물을 잡수시고 물맛이 유난히 좋다 하여
이때부터 이 우물에 벼슬을 주어 당상(堂上)의 품계를 제수하였다는 일화가 전해온다.’
- 과천시 스마트 관광 전자지도에서 설명 -
과천시 스마트 관광 전자지도
공연을 지켜본 한 시민은 “갈현동 갈 때마다 버스 정류장으로 찬우물 얘기를 많이 들었지만 이러한 역사적 배경이 있는 줄 잘 몰랐다.
공연을 보고 확실히 알게 됐다”라고 말했습니다.
어른 어깨 위에 올라탄 아이들이 등장하자 놀이는 절정에 달했습니다.
높은 곳에서 아이들이 팔을 자연스레 흔들면서 재롱을 부리자 시민들은 저마다 미소를 띠며 흐뭇하게 바라봤습니다.
생각보다 균형을 잘 잡는 귀여운 아이들의 몸짓에 놀라면서도 신기해하는 시민들도 더러 있었습니다.
과천무동답교놀이의 모든 순서가 마무리되고 출연진은 시민들을 무대로 초대했습니다. 객석에 있던 시민들이 하나둘 야외무대에 나왔습니다.
그리고 출연진과 시민 모두 함께 손을 맞잡으며 강강술래 등 흥겹게 놀았습니다. 외국인도 함께 덩달아 춤추며 즐겼습니다.
정기 공연을 처음 관람했다는 한 시민은 “과천무동답교놀이에 대해 잘 몰랐는데 이번에 조금은 알게 된 것 같다. 재밌게 잘 봤다”라고 전했습니다.
정기 공연 이후 오은명 명인과 짧게 대화를 나눴습니다.
(Q. 김진흥 기자 A. 오은명 명인)
Q. 공연을 마친 소감을 듣고 싶습니다.
A. 공연을 보러 온 시장님을 비롯한 인사들과 시민들에게 감사해요. 더 많이 오셨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지만요.
그리고 우리 60명 넘는 출연진에게 감사하다고 전하고 싶어요. 출연진 중 절반 가량이 1980년대때부터 활동한 분들이에요.
고령임에도 과천무동답교놀이를 지키기 위해 발벗고 나서는 분들이죠. 더 많은 분들이 이 놀이에 관심을 가져 참여해주셨으면 좋겠어요.
Q. 과천무동답교놀이의 큰 매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A. 이 놀이는 우리 전통문화와 정신문화가 합쳐진 것이라고 생각해요.
단순히 즐기는 연희가 아닌 정조대왕의 능행길을 착안해 놀이로 승화한 것이기에 효를 중요히하는 메시지가 놀이 속에 포함되어 있어요.
효를 조명하는 연희는 이게 유일하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Q. 과천 시민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 전해주세요.
A. 우리 과천 시민들이 과천무동답교놀이에 많은 관심과 애정을 보내주셨으면 좋겠어요.
많은 분들이 찾아오셔서 관람해주시면 공연을 펼치는 저희들이 더 힘이 날 것 같아요.
우리 전통 문화는 보는 사람들의 발길이 끓어지면 소멸되거든요. 많이 좋아해주셔야 이 놀이가 후대에도 이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 놀이가 사라지지 않도록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평소 관심 있는 분들은 과천무동답교놀이보존회에 언제든 문의주시면 알려드리니 연락주시길 바랍니다.
다음 과천무동답교놀이 공연은 9월 과천공연예술축제 때 펼칠 예정입니다.
과천무동답교놀이보존회
경기 과천시 경기도 과천시 문원로 40-1 과천문화원 3층
02-504-2345
김진흥 기자
#과천시 #과천시청 #과천시SNS시민기자단
#SNS시민기자단 #무동답교놀이 #과천무동답교놀이
#과천문화원 #과천무동답교놀이보존회
#정조대왕 #경기도무형유산 #찬우물 #남태령
- #과천시
- #과천시청
- #과천시SNS시민기자단
- #SNS시민기자단
- #무동답교놀이
- #과천무동답교놀이
- #과천문화원
- #과천무동답교놀이보존회
- #정조대왕
- #경기도무형유산
- #찬우물
- #남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