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울산중구문화의전당>에서는 '어반 스케쳐스 울산단체전' 전시가 열렸는데요. 그때 작가님들의 작품 중 <충의사>와 <구강서원> 어반스케치 작품을 보면서 꼭 한번 방문해 보고 싶어 전시 중에 잠시 다녀온 후 1개월 만에 다시 찾았습니다.

충의사(忠義祠)

⏳울산 정신문화의 산실

✅찾아가는 길: 울산시 중구 서원 11길 25

✅문의: 울산시 문화예술관 052-229-3734 / 충의사 관리사무소 052-294-7721

먼저 울산 정신문화의 산실인 충의사(忠義祠, chung ui sa)를 찾았습니다.

충의사는 임진왜란 때 나라와 겨레를 지키기 위해 산화하신 구국 의사들의 위패를 모시고 그 충의를 추모하고 제향하는 사당입니다.

충의사로 들어가는 오르막길 입구에 세워진 홍살문(紅薩門)은 홍전문 또는 홍일문이라고 불리는데 예로부터 홍살문은 궁전 묘 입구에 지붕 없는 양 둥근기둥 위에 살을 꽂았으며 붉게 채색하였다고 합니다.

홍살문 언덕을 올라서면 왼쪽에는 화장실이 있고 정면으로는 관리사무소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충의사 안내도

충의사 안내도에 따라 순서대로 충의사를 돌아보기로 합니다.

울산 중구 학성동에 위치한 충의사는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선조들의 충의를 기리기 위해 1997년 7월 사당 건립에 착수하여 2000년 6월에 사당 외 9동(棟)과 홍산문을 완공하여 충의사라 이름하였다고 합니다.

▲비각(碑閣)

홍살문으로 들어와서 창의문(彰義門)으로 올라가는 돌계단 왼쪽으로 3편 정도의 비각을 볼 수 있는데요. 비각 안에는 울산임란의사 사적비가 거북 좌대 위에 세워져 있습니다.

▲창의문(彰義門)

비각 오른쪽 가지런한 계단 위로 보이는 곳이 창의문(彰義門) 입니다.

창의문은 외삼문(外三門)으로 '충(忠)과 의(義)가 영세에 빛나고 있는 곳으로 가는 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숭모당(崇募堂)

창의문을 열고 올라서면 입구에 충의사를 방문하는 분들의 흔적을 남기는 방명록과 왼쪽으로 숭모당(崇募堂)이 있는데요. 숭모당은 충의사의 춘·추 제향(祭享) 행사를 협의하고 전체적인 관리와 임란의사숭모회의 대·소의 일을 의논하는 곳입니다.

숭모당 마루에 앉아 울산 도심과 울산왜성(蔚山倭城)을 바라봅니다.

울산왜성(蔚山倭城)

울산시 중구 학성동에 남아 있는 정유재란 때 일본군이 쌓은 일본식 성곽(왜성)

1997년 10월 30일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7호로 지정

▲전시관(展示館)

창의문을 올라서서 오른쪽에는 전시관(展示館)이 있습니다.

전시관에는 임진왜란의 전투연보와 울산 의병의 주요 전투연보를 볼 수 있고 의사들의 실기, 교지도 비치되어 있습니다.

대형 도산성 전투도 및 갑주, 병기 등도 진열되어 있습니다.

▲울산성 전투도 병풍

울산성 전투도 병풍은 임진왜란 전투 장면을 그린 국내외 작품 가운데 가장 방대하고, 세밀하게 묘사한 그림으로 유명하다고 합니다.

각 6폭, 총 18폭의 세 틀로 이루어진 이 병풍은 일본인이 그린 임진왜란의 전투도란 점에서 주목된다고 합니다.

상춘문(尙忠門)

전시관을 나와 두 번째 계단 언덕을 만나는데요. 상춘문(尙忠門)입니다.

상충문은 사당으로 들어가는 문입니다. 문의 명칭을 상충이라 함은 충이 항상 생동하고 있다는 뜻에서 지어졌다고 합니다.

상충문을 올라서면 충의사 본관이 나옵니다.

사당에는 울산 의사 242위(位)의 위패를 봉인하였고, 특히 이름 없이 산화(散華)한 의사들을 위해 무명제공신위(無名諸功神位)를 함께 봉안하였고, 매년 봄, 가을에 정성을 다하여 제향을 봉행하고 제향일은 봄과 가을 적후에 맞는 4월 15일과 10월 15일로 정하고 호국충절의 높은 뜻을 받들고 있다고 합니다.

문이 닫혀 있어 내부를 볼 수는 없었지만, 이 언덕에 올라서니 왠지 마음이 숙연해졌습니다.

전사청(典祀廳)

충의사 본관 왼쪽으로는 전사청(典祀廳)이 있는데요 'ㅁ'자형 모양으로 제례(祭禮)에 필요한 제기와 일체의 기구를 보관하고 제수를 준비하는 곳입니다.

충의사 본관 마당에 있는 부도를 보면서 지난번 울산중구문화의전당에서 전시되었던 어반스케치 작품의 석탑을 만난 반가움을 느껴 봅니다.

울산에 살면서도 처음 방문해 본 울산 정신문화의 산실 충의사에서 선조들의 숭고한 희생 앞에서 조금은 낮아지고 조금은 더 겸손하고, 희생에 대한 마음을 느끼고 돌아서는 시간이었습니다.

홍살문을 내려와 5분 거리에 있는 구강서원으로 발길을 옮겼습니다.


울산 유일의 사액서원인 구강서원(鷗江書院) 입구입니다.

오른쪽 언덕에 20여 대 정도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고 주변으로 거주자 우선 주차공간이 여유롭게 있습니다.

구강서원(鷗江書院)은 조선시대 울산지방의 최초 사립교육기관으로 서기 1659년(효종 10년) 2월 9일에 사림 배두첨 등 11명이 창건 발의가 있은 후 3차에 걸쳐 사림 55명이 공동출자하여 1678년(숙종 4년) 울산시 중구 반구 1동 290번지 일원(현재 서원 마을)에 건원하였습니다.

중구는 5월부터 12월까지 울산향교와 구강서원에서 '2025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사업-모여락(樂)! 도심 속 유(遊)학(學)나들이'를 운영합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프로그램 시작 전 서둘러 신청하세요^^*

향교·서원 문화유산 활용사업은 국가유산청 주관 공모사업으로, 향교·서원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조명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구강서원(鷗江書院)

✅운영시간 / 09:00 ~ 17:00

✅휴무 / 매주 일요일 6월 6일 현충일 휴무

✅문의 / 052-292-3144

✅찾아가는 길 / 울산시 중구 서원 11길 45

현 서원은 2001년 3월에 착공하여 2003년 2월에 준공되었습니다.

구강서원 정문인 외삼문(外三門)/유의문(由義門)입니다.

▲고직사(庫直舍)

정문을 들어서 오른쪽에는 집사가 거처하는 고직사(庫直舍)라 불리는 곳인데요. 현재는 사무공간으로 사용하며 관리하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강당(講堂)/지선당(止善當)

정문을 들어서서 정면으로 보이는 곳은 강당입니다.

서원의 기능은 강학, 교화, 제사의 기능이며 조선시대에는 선비를 양성하던 곳이었습니다.

함께 나들이를 나온 울산큰애기도 '다녀갑니다' 인증 사진 한 장 남깁니다.

일각문(一角門)

강당 왼쪽은 일각문(一角門)으로 관계자만 출입할 수 있는 문입니다.

어반스케쳐스 전시회에서 인상 깊은 풍경으로 만났던 곳입니다.

실제로 이곳에 들어서니 기와지붕과 돌계단, 초록 잎이 무성한 나무의 조화가 정말 아름다운 한 폭의 수채화로 다가왔습니다.

▲선화루(宣化樓)

강당 마당에 올라서 바라본 선화루입니다.

선화루에서 바라본 강당의 모습이구요!

구강서원 정문 위에 얹혀 있는 선화루(宣化樓)는 베풂을 가르치는 누각입니다.

이곳은 서제(西齋)/경신제(敬身齋)인데요. 심신을 재계하는 곳입니다.

방문했던 날은 한자수업이 진행되고 있었습니다.

내삼문(內三門)

서재 오른쪽 계단 위로 사당을 출입하는 내삼문(內三門)이 있는데요. 제사가 있는 날이 아니면 문은 잠겨 있습니다.

▲전사청(典祀廳)/묘우(廟宇)/숭도사(崇道祠)

문이 잠겨 있어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지만 기와 담장 너머로 바라본 곳에는 제수를 관장하는 전사청(典祀廳)과 오른쪽으로 선현을 모시는 사당인 묘우(廟宇)/숭도사(崇道祠)가 있습니다.

전시회에서 만났던 구강서원의 사당이 보이는 언덕 풍경입니다.

이곳 풍경이 너무 좋아서 한참을 머물렀습니다.

누구나 살고 싶은 종갓집 중구에서 다시금 역사와 문화를 만났습니다.

다음 중구 여행은 어디로 떠나볼까 고민해 보며 기회가 허락하는 대로 내가 살고 있는 울산의 문화유산을 찾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울산중구 #울산광역시중구 #울산중구소셜미디어기자단 #누구나살고싶은종갓집중구 #울산 #울산광역시 #울산가볼만한곳 #울산중구가볼만한곳 #울산중구명소 #울산중구역사 #충의사 #울산충의사 #울산의병활동 #울산중구의병사당 #충의정신 #임진왜란 #정유재란 #학성역사탐방로 #구강서원 #사액서원 #울산유일사액서원

{"title":"울산 정신문화의 산실 충의사 & 울산 유일의 사액서원 구강서원","source":"https://blog.naver.com/usjunggu/223879749258","blogName":"울산광역시..","domainIdOrBlogId":"usjunggu","nicknameOrBlogId":"울산광역시 중구","logNo":223879749258,"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