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시간 전
홍성 장곡면 도보여행 아름다운 경치가 펼쳐지는 천태저수지부터 고운 최치원선생유적지까지
오늘은 홍성군의 낚시로 유명한 천태저수지와
고운 최치원선생의 흔적이 남아 있는 공원도 방문해 보았습니다.
서기 868년 신라 현강왕때 12살의 나이로 당나라에 유학 가는 아들에게
10년 안에 과거에 급제하지 못하면 내 아들이 아니니 아버지라고 부르지 말라는 말에
'인백기천'이라고 말을 남기며 유명해졌습니다.
5월에도 생각보다 비가 많이 내렸습니다.
이번 주에도 비 소식이 있는데요.
농사를 시작하는 분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수 있겠네요.
그래도 산불이 나지 않는 환경이어서 마음이 편해집니다.
봄에 걷기 좋은 이 공간은 천태저수지로
충남 홍성군 장곡면 행정리 129-3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청소의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장곡면 천태저수지에서부터
저수지 둘레길 및 산책로에서는 주기적으로 자연정화활동을 한다고 합니다.
비가 오는 날에도 낚시를 하러 온 사람들이 적지가 않았습니다.
이 저수지는 천태산에서 흘러내린 물이 고여 저수지를 이루어서 천태저수지라고도 하며
행정리에 위치하여 행정저수지라고도 부릅니다.
천태저수지가 있는 마을은 행정2리는
일명 속은이 마을이라고 알려진 곳입니다.
천태저수지의 주변에도 마을이 있는데요.
시골마을에 맑은 물이 가득 찬 저수지를 걸어보면 잡념도 없어지고
아름다운 경치에 푹 빠져서 봄을 만끽할 수가 있는 곳입니다.
이 부근에 속은이라는 지명은 조선의 10대 왕인 연산군의 폭정이 심해지자
속은에 살고 있던 한 선비도 마찬가지였다고 합니다.
시골에만 숨어 있을 수 없다는 판단에 열심히 글을 읽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그러던 중에 글 읽는 소리가 들리지 않자 사람들이 선비 집으로 몰려갔는데요.
연산군이 물러남을 기뻐하며 속인이라고 자처하며 묻혀 살았다고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천태저수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는 고운 최치원 선생 유적지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고운 최치원 선생은 신라 말기에 894년 시무책 10여 조를 진성여왕에게 상소하여
문란한 국정을 통탄하고 바꿀 것을 요구하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관직을 버리고 난세를 비관하며 각지를 유랑했다고 합니다.
자그마한 공원이지만 고운 최치원 선생의 글로 가득 찬 곳이기도 합니다.
유적지의 바위에 새겨져 있는 용은별서는 고운 최치원 선생을 대표적으로 상징하는 것입니다.
고운 최치원 선생은 백성을 사랑했고 자연 속에서 살았던 사람입니다.
백 권이 부족하다면 이백권을 읽었고 그걸로 부족하다면 천권을 읽었던 노력가이며
그 속에서 길을 찾았던 사람이라고 합니다.
살아서는 바른 사회를 위해 노력하며 전국에 흔적을 남긴
고운 최치원 선생은 죽어서는 신선이 되었다고 합니다.
봄이 무르익어가는 5월에 홍성의 자연을 만난 것도 좋고
고운 최치원 선생이 백성들을 위해 조성해 둔 의미도 좋습니다.
고운 최치원 선생은 토착신앙인 무(巫)를 토대로 외래 사상인 유불선 삼교를 회통 융화시켜
우리의 교유 사상인 풍류를 정립한 인물이어서 그의 글에도 그런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합니다.
홍성군의 천태저수지와 고운 최치원선생유적지는 연결해서 여행하기에 좋은 곳입니다.
- #충청남도
- #충남
- #홍성
- #홍성군
- #내포
- #홍성저수지
- #홍성천태저수지
- #홍성드라이브코스
- #드라이브코스추천
- #드라이브코스
- #천태저수지
- #홍성가볼만한곳
- #홍성산책로
- #홍성드라이브코스추천
- #저수지드라이브
- #홍성여행
- #고운최치원선생
- #최치원선생
- #최치원
- #금석문
- #유적지
- #친필금석문
- #문창후